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영국의 부유층이 납세의 열쇠!? 상위 1%의 놀라운 기여와 그 영향

영국의 부유층이 납세의 열쇠!? 상위 1%의 놀라운 기여와 그 영향

2025年10月22日 18:32

「1%가 3분의 1」──영국의 세금을 지탱하는 초소수자와 “유출”을 둘러싼 공방

10월 21일에 보도된 새로운 HMRC(세입관세청) 데이터에 따르면, 영국의 "상위 1%" 납세자가 2023/24년도에 소득세와 자본이득세(CGT)의 합계의 3분의 1(33%)를 부담했다. 인원으로는 약 50만 명. 그 중에서도 상위 10만 명만으로 거의 5분의 1을 기여하고 있다. 투자 서비스인 Wealth Club이 정보 공개 청구(FOI)로 얻은 숫자라고 한다. 정부 세입이 한 줌의 고소득자에게 강하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 다시금 가시화된 모습이다.Business Matters


이 비중의 크기는 정책의 방향을 어렵게 한다. 특히 올해 4월에 논-돔사일(non-dom) 제도를 폐지한 것으로 인해, 고자산층의 "지리적 발 빠름"이 영국의 세금 기반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제도 폐지로 인해, 영국 거주 4년 초과 시 세계 소득·자산에 대한 과세가 확대되고, 상속세의 적용 범위도 확장되어 간다. 민간 측에서는 "과도한 증세는 부유층의 이주를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세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Business Matters


한편, "부유층 “유출”"의 실태는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 FT는 인도계 철강 대기업의 창업자 락슈미 미탈 씨가 non-dom 폐지를 받아들여 영국 탈퇴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지만, 이는 상징적인 움직임으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반면, 조세정의네트워크(TJN)는 "“백만장자 대이동”은 과장되게 선전되기 쉽고, 실제 수는 부유층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일부다"라는 반증 분석을 내놓고 있다.파이낸셜 타임즈


데이터가 말하는 것: 집중과 리스크

  • 상위 1%(약 50만 명): £93.8bn를 부담(2023/24년도).

  • 그 중 상위 10만 명: £54.9bn으로, 단독으로 전체의 약 2할을 차지한다.

  • 최근의 가처분 소득이나 고용 동향은 총무성 통계청(ONS)의 PAYE 시리즈에서도 파악이 진행되고 있지만, **세수의 “부담자 집중”**은 경기 변동이나 정책 변경에 대해 취약해질 수 있다.Scottish Financial News


게다가, HMRC는 데이터 분석 기반 "Connect"를 통한 집행 강화로 추가 세수의 증가를 계속하여, 2024/25년도에는 **+£4.6bn을 확보. 징세의 “수평 전개”는 진행되고 있지만, 초부유층의 자산 파악이나 오프쇼어 구조의 추계에는 여전히 한계가 남아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즉, "빠진 부분을 메우는" 노력과, "부담자의 국외 이전"이라는 이중 전선 작전**을 동시에 강요받고 있는 것이 현재의 위치다.파이낸셜 타임즈


현장에서의 목소리: SNS는 이렇게 반응했다

 


  • 「상위 0.1%가 하위 50%보다 더 많은 소득세를 내고 있다. 그들은 유동적이다. 성장을 원한다면, 오히려 그들을 붙잡는 환경을」(보수계 의원의 게시물). 부담의 집중과 “플라이트 리스크”를 강조하는 전형적인 논조다.X (formerly Twitter)

  • 「'1%가 3할'은 정부 지출의 3할이 아니다. 오해를 주의해야 한다」(경제학자 계정). “무엇의 3할인가”라는 분모의 오독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강하다.X (formerly Twitter)

  • 「'백만장자 유출'은 사실 극히 일부. 숫자를 냉정하게 보라」(TJN계의 확산). 헤드라인과 실제 수치의 괴리의 지적은 X나 Reddit에서도 반복된다.Tax Justice Network

  • 「상위 1%나 10%의 부담 비율은 확실히 크다. 하지만 누진성의 유지도 필요하다」(중도·정책 클러스터). 성장과 공정의 양립을 요구하는 “중간파”의 의견도 눈에 띈다.X (formerly Twitter)


SNS 공간에서는,
(1) 성장 지향(모빌리티 중시): 발 빠른 고소득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면, 수입·투자·고용까지 해외로 유출된다는 경계.
(2) 공정 지향(재분배 중시): "누가 얼마나 내야 하는가"를 윤리적·정치적으로 재분배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
(3) 팩트 체크 지향: 분모의 착오(세수 vs. 지출)나, non-dom 폐지=즉 “다수 유출”이라는 단순화를 경계하는, 세 가지 주요 흐름으로 대별할 수 있다.


「선택받는 영국」이 되기 위해: 정책 옵션

1)과세의 안정화+예측 가능성
고소득자나 기업가의 의사 결정에 있어서, **세제의 “앞을 내다볼 수 있는 느낌”**은 극히 중요하다. 빈번한 제도 변경은, 항구적인 할인 요인이 된다. 이번의 non-dom 폐지와 같은 대형 개편일수록, 이주의 문턱을 넘기 쉬워진다.Business Matters


2)우대의 축소와 대가의 명확화
「누구를, 무엇을 위해, 어느 정도 우대할 것인가」. 예를 들어 R&D 세금 감면이나 스케일업 기업의 주식 보상 등, 투자·고용에 연결된 우대로 축소하고, 성과의 공개를 요구하는 방식은 국제적으로도 타당하다.


3)집행 강화의 “마지막 1마일”
Connect와 같은 데이터 집행은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국제 데이터 연계, 초부유층의 실태 파악(특히 오프쇼어 신탁)에는 개선 여지가 크다. 세율을 올리지 않고 부담 능력의 포착률을 올리는 여백은 아직 남아 있다.파이낸셜 타임즈


4)메시징의 정류화
「상위 1%가 3할」은 세수의 내역이며, 사회 보장이나 공공 서비스의 지출 비율의 이야기가 아니다. 오해를 부르는 프레이밍을 피하고, 납세자 전체의 “공통 이해”를 정성스럽게 쌓는 것이, 제도 수용의 전제가 된다.X (formerly Twitter)


앞으로 무엇을 볼 것인가

  • 가을 예산(11월): 증수가 필요한 한편, **“나가게 하지 않는 세제”**라는 제약이 강해진다. 정부는 누진성과 성장 투자의 양립을 강요받는다.Business Matters

  • 부유층의 실이동: 개별의 "거물" 사건은 주목을 받지만, 정책 평가에는 순이동의 통계적 파악이 필수적. 헤드라인과 실제 수치의 괴리에 경계.파이낸셜 타임즈

  • 세무 집행의 진화: AI×데이터 연계의 구현이 세금의 공정성을 좌우. 투명성과 프라이버시의 균형이 요구된다.파이낸셜 타임즈

결론: 숫자는 "상위 1% 의존"이라는 구조적 리스크를 비췄다. non-dom 폐지로 경쟁 환경이 흔들리는 가운데, “예측 가능하고,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