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8월의 도산, 12년 만에 800건 초과 — "인력 부족 도산"은 인건비 급등으로 3배 증가, 해외와의 대비로 읽어보는 일본의 곤경

8월의 도산, 12년 만에 800건 초과 — "인력 부족 도산"은 인건비 급등으로 3배 증가, 해외와의 대비로 읽어보는 일본의 곤경

2025年09月09日 00:30

1. 현상 분석: 8월 도산 건수의 세부 사항과 내역

  • 건수와 부채 규모
    2025년 8월의 전국 기업 도산(부채 1,000만 엔 이상)은 805건. 전년 동월 대비 11.3% 증가, 부채 총액 1,143억 7,300만 엔으로 12.8% 증가하여, 두 항목이 전년을 초과하는 것은 3개월 연속입니다. 800건대는 2013년 8월의 819건 이후 12년 만의 높은 수준입니다.Tuoi tre newsTSR 네트워크

  • 규모별 특징
    부채 1억 엔 미만이 612건(구성비 76.0%), 1억 엔 이상 5억 엔 미만이 증가(26건, 전년 동월 대비 73.3% 증가), 대규모는 감소 경향. 전체적으로 중소 규모의 도산이 중심에.TSR 네트워크

  • 업종·지역별 경향
    서비스업이 가장 많음(242건), 건설업 175건(+44.6%), 소매 94건(+18.9%), 부동산 31건(+72.2%), 운수 34건(+36.0%). 지역에서는 간토, 주부, 큐슈 등 7개 지역에서 증가, 도호쿠와 시코쿠는 감소.TSR 네트워크



2. “인력 부족 도산”이란, 인건비 상승이 3배로

  • 증가의 실태
    "인력 부족" 관련 도산은 전년 4건에서 23건으로 급증, 그 대부분이 "인건비 상승"이 원인으로 약 3.0배로 확대되었습니다.TSR 네트워크Facebook

  • 배경 사정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이 두드러지고, 급여 수준의 상승이 중소기업의 수익을 압박. 금융 정상화에 따른 금리 상승이나 물가 상승도 피해를 확장.Reuters+1



3. 장기적 관점: 연도 단위의 동향과 전망

  • 2024년도 도산 건수
    2024년도(2023년 4월~2024년 3월)에는 도산 건수가 누계 10,144건으로 11년 만의 수준에 도달, 전년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인력 부족", "물가 상승"에 따른 도산이 가장 많고, 그 건수도 13년 전후의 수준입니다.nationthailandThe Japan TimesAnadolu Ajansı

  • 건설업을 중심으로 한 업종별 심각성
    건설업의 도산은 1,924건으로 10년 만의 높은 수준. 재료·노무 비용 상승과 법령에 의한 잔업 상한 규제, 노동력 부족이 겹쳐 구조적으로 어려운 상황.Global Construction Review

  • 노동 시장의 긴장과 도산의 악순환
    노동 시장의 긴장이 계속되고, 2024년 상반기에는 노동 부족을 원인으로 한 도산이 전년보다 66% 증가(182건)로. 이미 기업 간 연쇄 도산 위험도 시사되고 있으며, 경기 순환의 악화로 이어질 우려도.Reuters+1

  • 경제 정책·중앙은행과의 관계
    일본은행의 인플레이션 자극책이 노동 시장을 긴장시키고, 임금 인상 압력이 대기업 중심으로 진전. 그러나 중소기업에는 "인건비 부담"이 무겁고, 도산 증가에 직결되는 면도.Reuters+1



4. 해외와의 비교: 구조상의 차이와 공통점

  • 유럽·미국·신흥국과의 상황 비교
    유럽·미국에서는 팬데믹 후의 경기 후퇴,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으로 도산 증가가 진행 중. 그러나 일본과 같은 노동력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도산”은 구조적으로 보기 어려워, 독특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정책 대응의 차이
    많은 나라에서는 이민 수용이나 노동 시장의 구조 개혁으로 대응하는 반면, 일본은 이민에 신중하며, 노동 공급 확보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노동력 확보에는 AI·자동화나 정년 연장·재고용 등 다각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일본 고유의 과제로서, 지방의 중소기업이 도산함으로써 지역 경제나 공급망 전체에 파급. 유럽·미국에서는 대기업 중심의 파산도 많아, 영향 범위나 지원 체계에 차이가 있습니다.



5. 향후 전망과 대책의 방향성

  • 단기적 대응책
    융자 지원, 운전 자금 확보를 위한 정책 지원, 특히 중소기업을 위한 금리 보조나 담보 정책의 강화.

  • 중장기적 개혁
    자동화·디지털화의 추진, 인재 확보책(고령자·여성·외국인의 활용), 노동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훈련, 정년 연장·재고용 제도의 강화.

  • 정책 연계의 필요성
    정부·지자체·금융기관·업계 단체가 연계하여, 도산 예방의 조기 상담 체제나 자금 제공, 고용 지원을 포괄적으로 추진할 필요성.

Powered by Froala Editor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