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Google, goo.gl 단축 링크의 비활성화 계획 철회 – 왜 Google은 goo.gl을 종료하지 못했는가

Google, goo.gl 단축 링크의 비활성화 계획 철회 – 왜 Google은 goo.gl을 종료하지 못했는가

2025年08月03日 10:00

1. "끝났을 것"의 goo.gl이 다시 주목받은 날

2009년에 등장하여 전성기에는 Twitter나 블로그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했던 Google의 단축 URL "goo.gl". 이미 2019년에 신규 발행을 중단했기 때문에 "과거의 유물"로 여겨졌으나, 2024년 7월 18일, 개발자 블로그에 게재된 한 문장이 웹계를 뒤흔들었다──"2025년 8월 25일 이후, 모든 goo.gl은 응답하지 않게 됩니다"Google Developers Blog。


이 공지는 즉시 The Verge와 ITmedia가 보도하며, "15년 분의 링크가 사라진다", "역사적 자료가 어둠에 묻힌다"는 파문을 일으켰다. Google은 "99% 이상이 30일간 접속 제로. 유지 비용에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지만, 학술 논문·정부 문서·YouTube 설명란 등에 내장된 방대한 링크의 행방은 불투명해졌다.


2. SNS가 들끓다――확산되는 불신과 아카이브 열기

발표 직후, Reddit /r/DataHoarder에는 "또 죽은 웹이 늘어난다", "Google의 약속은 믿을 수 없다"는 글이 쇄도Reddit. 디지털 아카이브 단체 ArchiveTeam은 "링크 전체를 크롤링하라"고 호소하며, Bsky에서도 Altmetric이 "링크 로트는 학계의 악몽"이라고 경고했다web-cdn.bsky.app. 국내에서도 Gigazine이 "공공 인프라를 민간에 맡기는 위험이 현실화"라고 논하며 찬반양론을 소개하고 있다GIGAZINE.


이러한 반응의 근저에는, Google Reader에서 Stadia까지 서비스 종료를 반복하는 "Killed by Google"에 대한 불신이 있다. 단축 URL은 외부 리다이렉트이기 때문에 제공자의 사정 하나로 웹의 구조 자체가 망가질 수 있다. "공공 아카이브나 최소한 리다이렉트 목록을 제공한 후 중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3. 워싱턴 포스트의 비판과 "링크 로트"라는 병

미국 워싱턴 포스트는 2025년 8월 1일자 기사에서 "수백만 링크를 한 번에 죽이는 것은 웹 문화에 대한 배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하버드 대학의 Jack Cushman 씨와 ODU의 Michael L. Nelson 씨는 "링크는 인터넷의 결합 조직. 상실되는 정보 가치는 측정 불가능"이라고 언급했다The Washington Post.


실제로, 동지가 인용한 2013년 연구에서는,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에 포함된 링크의 약 50%가 20년 동안 무효화되었다. goo.gl 중지는 "링크 로트(link rot)"를 가속화하고, 학술적·법제적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논평은 결론짓는다.


4. Google의 "부분 철회"――남은 링크, 살아남는 링크

그리고 2025년 8월 1일, Google은 방향 전환을 발표했다. The Verge의 Jay Peters 씨에 따르면 "2024년 말 시점에서 클릭 실적이 있는 URL은 유지, 이미 '8월에 죽는다'는 경고가 붙은 비활성 링크만 404화"라는 "절충안"이다.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연구 기관·정부 등에서의 요청이 잇따라 "전면 중지는 브랜드 이미지를 손상시킨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전히 수백만 단위의 링크가 실효될 것으로 보이며, ArchiveTeam은 "마지막 24일 동안 얼마나 빨아들일 수 있는지가 승부"라며 도구의 개선을 서두르고 있다.


5. 이행과 보존, 사용자가 취해야 할 3가지 단계

  1. 대체 단축 서비스로의 이행
     Bitly·TinyURL 등 오래된 서비스 외에도, 오픈 소스의 YOURLS도 선택지. 다만 자체 호스팅형은 운영 비용과 유지보수가 필요.

  2. 영구 링크 확보
     법원이나 논문에서 인용할 경우 Perma.cc나 Internet Archive의 "Save Page Now"를 병용하여, 리다이렉트 소실 후에도 접근 가능한 URI를 병기해 둘 것.

  3. 자신의 사이트 내의 goo.gl 검색과 일괄 치환
     WordPress라면 WP-CLI, GitHub Pages라면 정규 표현식 치환으로 리스트를 작성하고, 리스트 관리 파일을 한 번 아카이브한 후 수정하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6. "망가져가는 웹"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Google의 "부분 철회"는 사용자 친화적으로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기업 인프라의 사유화" 문제를 미루었을 뿐이다. 웹은 근본적으로 동적이며, URI와 콘텐츠는 영원하지 않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링크라는 "약속"을 지키려는 의지가 요구된다.


이번 소동은, 디지털 공공재로서의 링크를 민간이 독점해도 되는가, 라는 질문을 던졌다. 도서관·아카이브·개발자 커뮤니티·플랫폼 사업자가 협력하여, 기술적·제도적으로 "망가지기 어려운 웹"을 구축할 계기가 될 수 있을까. goo.gl의 남겨진 링크들은 그 시금석이 될 것이다.


참고 기사

Google, goo.gl의 단축 링크를 무효화하는 계획을 철회
출처: https://www.theverge.com/news/717649/google-goo-gl-url-shortener-links-backtrack

Powered by Froala Editor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