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빠른 유행을 늦춰라: 유럽이 그리는 '슬로우 소비'의 설계도 - 수리 우대와 EPR로 변화하는 옷장

빠른 유행을 늦춰라: 유럽이 그리는 '슬로우 소비'의 설계도 - 수리 우대와 EPR로 변화하는 옷장

2025年10月17日 01:50

유럽에서 "초저가·대량소비" 모델에 급브레이크가 걸리고 있다. 배경에는, EU가 국경을 넘는 소포에 대해 건당 2유로의 처리 수수료를 도입하는 구상이나, 2028년을 목표로 한 관세 150유로 면세 한도 철폐 계획, 그리고 프랑스가 추진하는 초패스트패션에 대한 과징금(2025년 5유로→2030년 10유로)과 광고 금지 법안 등 일련의 제도 패키지가 있다. 배송 인프라의 부담, 제품 안전, 경쟁 조건, 그리고 "버리는 전제"의 소비 습관을 동시에 바로잡으려는 거대한 시도이다. Reuters europarl.europa.eu


EU 레벨에서는, 2021년에 22유로 이하의 수입 VAT 면제가 폐지되어, 이미 모든 비EU 수입에 부가가치세(VAT)가 부과되는 운영으로 전환하고 있다. 앞으로는 소포별 수수료(2유로/창고 경유는 0.5유로 안)로 급증하는 소량 직송에 감독 비용을 추가하고, 더 나아가 관세 면제 150유로의 철폐를 포함한 세관 개혁으로 "잘게 나누어 직송" 모델의 허점을 막는 시나리오이다. 유럽 의회의 요점 정리나 유럽 위원회의 통지도 이를 뒷받침한다. Taxation and Customs Union europarl.europa.eu


한편 프랑스는 선행하여 독자적인 강력한 조치를 추진하고, 초패스트패션의 정의에 기반한 1점당 과징금(2025년 5€→2030년 10€ 상한, 또는 세전 가격의 최대 50%)과 광고 금지를 내세운 법안을 2025년 6월 10일에 상원이 가결. 최종 시행에는 유럽 위원회에 대한 통지·조정이 남아 있지만, 방향성은 확고하다. Reuters


더불어, 그린워싱 규제를 강화하는 EU 지침(Directive (EU) 2024/825)이 2026년 9월 27일 적용으로. 모호하고 근거 없는 "에코" 표시는 금지되며, 내구성·수리성에 관한 "실증된 정보 공개"가 요구된다. 지속 가능성 주장에 대한 "말뿐인" 주장은 통용되기 어려워진다. eur-lex.europa.eu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가: 제도를 3층으로 정리

1) 국경에서의 "입구 대책"

  • 2유로 수수료: EU가 국경을 넘는 소량 직송에 대해 제안. 감독 비용이나 안전 검사 재원 확보가 목표. 창고 경유는 0.5유로 안도. 도입에는 회원국·유럽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며, 각국에서는 선행하여 독자적인 수수료를 검토·도입하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다(예: 루마니아 등). Reuters

  • 150유로 관세 면제의 철폐: 2023년 제안된 세관 코드 개정 패키지에 포함되어, 2028년을 염두에 두고 단계적으로 진행될 전망. europarl.europa.eu

  • 통계: EU 세관은 2024년에 46억 개의 소량 화물을 처리, 그 중 91%가 중국발이라는 추정. 정책 논의의 배경에 "차원이 다른 물류 부담"이 있다. europarl.europa.eu


2) 국내 시장에서의 "표시·유통 대책"

  • 그린워싱 규제 강화(EU 2024/825): 모호한 환경 주장이나 "조기 진부화"를 촉진하는 상관행의 금지 등. 각국은 2026년 3월 27일까지 국내법 정비, 같은 해 9월 27일부터 적용. eur-lex.europa.eu

  • 제품 안전·불법품의 감독 강화: EC는 DSA(디지털 서비스 법)에 기반하여 플랫폼 대응을 가속. Temu에 대해서는 불법 상품의 위험 평가 미비 등의 잠정적 인증도 나왔다. digital-strategy.ec.europa.eu


3) 소비 행동을 "교체→수리·재사용"으로

  • 수리의 우대: 프랑스는 **신발·가죽 제품의 수리 VAT를 5.5%로 인하(2025년 1월 시행)**하고, **의류·신발의 수리 할인(보너스) 제도도 도입. 스웨덴도 의류·신발 등의 수리 VAT를 일시적으로 6%→현재 12%로 하는 등, 수리를 가격 면에서 지원. 네덜란드는 수리 서비스에 9%**의 저율. Meridian Global Services

  • 확대 생산자 책임(EPR)의 본격화: EU는 2025년부터 섬유의 분리 수거를 의무화. 스페인은 섬유·신발의 EPR 법령안을 2025년 6월에 공시하고, 연내~26년 초의 성립을 예상하는 등, 회원국마다 제도 설계가 진전. europarl.europa.eu miteco.gob.es



프랑스의 "초패스트" 포위망: 왜 강경한가

프랑스안은, 대량 투입·저내구·수리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 초패스트 모델을 겨냥하여, 광고 금지와 1점당 과징금으로 "팔고 버리기"를 어렵게 한다. 상원 가결(2025/6/10) 시점의 보도에서는 337대 1에 가까운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 시행에는 유럽 위원회에 대한 통지·조정이 필요하지만, 방향은 명확하다. Reuters


산업계에서는 반발도 있다. Shein은 **"법안은 소비자의 구매력을 손상시킨다"고 주장하며, 재고 폐기율의 낮음을 호소했다. 저가격을 지탱하는 "직송·소량" 모델에 있어, 유럽의 새로운 비용은 가격 전가와 배송 모델 재설계**를 강요한다. Reuters



데이터로 읽어보는 "저렴함"의 이면

  • 이익과 세금 부담: Temu의 EU 거점(아일랜드)은 2024년의 EU 내 세전 이익을 약 2배인 1.2억 달러로 확대. 고객은 1.15억 명 초과로 보도된다. 저가격 직송의 규모감은, EU의 규제 강화를 뒷받침하는 자료이다. 가디언

  • 급증하는 직송: 2024년에 46억 개의 저가격 소포, 9할이 중국발. 유럽 세관의 운영은 "한계"에 가깝다. europarl.europa.eu


SNS의 반응: 축제와 반발, 그 사이에 있는 본심

 


  • 지지파(안전·공정·폐기 억제)
     소비자 단체 BEUC는, Temu 등에서 위험·부적합 품이 소포로 유입되고 있는 현상에 경종을 울리며, 입구 대책의 강화를 주장. 규제 강화를 환영하는 게시물이 X에서 두드러졌다. X (formerly Twitter)##HTML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