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강에서 수박을 식히는 것은 안전한가요? - 즐거운 여름 레저에 숨겨진 위생 리스크와 관리 영양사가 추천하는 올바른 대책

강에서 수박을 식히는 것은 안전한가요? - 즐거운 여름 레저에 숨겨진 위생 리스크와 관리 영양사가 추천하는 올바른 대책

2025年08月07日 00:11

시작하기: 그리운 여름 풍경 속 '보이지 않는 위험'

맑은 시냇물에 수박을 담가 차갑게 식힌 후 모두 함께 먹는 것은 즐거운 습관이지만, 자연수는 수돗물처럼 소독 및 관리된 '음용수'가 아닙니다. 상류의 가축이나 야생 동물의 배설물에서 유래한 세균, 기생충, 렙토스피라 등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겉보기에 맑더라도 '안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강이나 계곡에서의 레저 활동에서는 부상이나 음용수뿐만 아니라 식품 취급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지방자치단체나 감염증 정보에서도 담수에서의 렙토스피라증 등에 대한 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후쿠오카현 공식 웹사이트fihes.pref.fukuoka.jp



왜 '강에서 식힌 수박'이 위험한가: 메커니즘으로 이해하기

1) 이차 오염 (크로스 컨타미네이션)

멜론류(수박 포함)는 밭에서 흙에 닿으면서 자라기 때문에 표면에 세균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흐르는 물로 씻지 않고 자르면, 칼이나 손, 도마를 통해 과육으로 옮겨져 식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째로라도 씻고 나서 자르는 것이 철칙입니다.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1


2) 비소독수와의 접촉

강물은 염소 소독이 되어 있지 않으며, 분변성 대장균군이나 병원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표면에 부착되면, 이후 과정에서 세척이 부족할 경우 과육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담수 레저에 따른 감염증 위험에 대한 주의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후쿠오카현 공식 웹사이트오키나와현 공식 사이트


3) 온도 차이에 의한 '흡입(인필트레이션)' 위험

따뜻한 과일을 차가운 물에 담그면 과일 내부의 공기가 수축하여 꽃 떨어진 부분(꼭지 쪽) 등에서 미생물을 끌어들이기 쉬운 현상이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NIFA의 가이드는 세척수는 과일보다 10°F(약 6℃) 이상 차갑게 하지 말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계류의 냉수에 장시간 담그는 방법은 이 점에서도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Nation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e


4) '상온 방치'의 시간 위험

야외는 고온다습합니다. 자른 후의 과일은 2시간 이내 (32℃ 초과 환경에서는 1시간 이내)에 냉장(4℃ 이하)으로. 피크닉이나 차량 내부는 '위험 지대'가 되기 쉽고, 멜론 관련 해외 아웃브레이크 사례에서도 냉각 및 위생 관리의 부실이 문제가 되어 왔습니다.CDCFoodSafety.govCDC 아카이브



관리 영양사가 권장하는 '4가지 원칙'과 실천 단계

원칙 A: 직접 강물에 닿지 않게 하기

  • 방수 드라이백이나 지퍼백에 이중으로 밀봉하여 외부만 강물로 냉각.

  • 가능하다면 쿨러박스+얼음・보냉제로 냉각 (최고 권장).CDC


원칙 B: 자르기 전 통째로 세척 철저히

  • 귀가 후 또는 현지의 음용 가능한 흐르는 물로, 손 씻기→브러시로 문지르기→흐르는 물로 헹구기→깨끗한 종이로 닦아내기.

  • 비누・세제・표백제・'전용 세정제'는 불가 (흡수나 잔류의 우려).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1


원칙 C: 자르는 도구・손을 청결히

  • 칼・도마는 생고기・생선과 공유하지 않기.

  • 현지에서 자를 경우, 알코올로 손・도구 표면을 닦기, 흙먼지가 묻으면 그때그때 닦아내기.

  • 가능한 한 합성 수지제의 깨끗한 도마를 사용하고, 구분 사용을 철저히.농림수산성


원칙 D: 자른 후 급냉・짧은 시간 내에 먹기

  • 4℃ 이하를 유지. 야외의 뜨거운 날씨(32℃ 초과)에서는 1시간 이내에 쿨러로 되돌리기.

  • 남은 것은 깨끗한 밀폐 용기에 냉장. 길어도 3~4일 이내에.CDCFoodSafety.gov



케이스별: 이것, 하고 있지 않나요?

  • 그①: 강에 직접 담가 장시간 '냉장'
    →온도 차이에 의한 '흡입'+비소독수의 부착으로 위험 증가. 직접 담그기 금지.Nation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e

  • 그②: 표면을 닦기만 하고 바로 자르기
    →흐르는 물+'문지르기' 과정이 필요. 그물눈이 거친 멜론일수록 오염이 남음.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그③: 자른 후, 레저 시트 위에 방치
    →2시간(32℃ 초과는 1시간) 규칙 위반. 그때그때 쿨러로 되돌리기.CDCFoodSafety.gov

  • 그④: 껍질에 알코올이나 차아염소산을 분무
    →비누・표백제・전용 세정제는 사용 불가가 원칙. 흐르는 물+문지르기 세척이 기본.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Q&A: 흔히 있는 오해

Q1: 통째로라면 안전하지 않나요?
A: **씻지 않으면 안전하지 않습니다.** 자를 때 표면의 오염이 과육으로 옮겨갑니다. 국내외에서도 멜론류의 취급 실수가 식중독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CDC 아카이브


Q2: 맑은 시냇물이라면 괜찮나요?
A: **겉모습으로 안전성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병원체는 눈에 보이지 않으며, 담수 레저에서의 감염증은 지자체도 주의를 촉구하고 있습니다.후쿠오카현 공식 웹사이트


##HTML_TAG_469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