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한 세포가 말하는 '생명의 배터리'의 진실 ― UT 사우스웨스턴이 연 새로운 줄기세포 생물학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한 세포가 말하는 '생명의 배터리'의 진실 ― UT 사우스웨스턴이 연 새로운 줄기세포 생물학

2025年07月05日 00:34

1. “세포의 배터리”를 통째로 제거하다――강제 미토파지란

「우리의 새로운 도구로, 미토콘드리아 양과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세포나 개체에 미치는 영향을 자유롭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UT 사우스웨스턴 의과대학의 Jun Wu 부교수는, Cell지 온라인판에 게재된 최신 논문을 이렇게 소개한다newswise.com。


미토콘드리아는 ATP를 생산하는 "에너지 공장"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세포 사멸, 분화 유도, 노화, 발생 타이밍 조절 등 다면적 역할이 보고되고 있다phys.org。그 해명을 가로막고 있던 것은 "완전히 미토콘드리아를 잃은 상태"를 만들 수 없다는 점이었다. Wu 등은 세포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처리하는 경로인 미토파지(PINK1/Parkin 경로 등)를 유전자 변형으로 강제 활성화하여, hPSC에서 미토콘드리아를 단시간에 제거하는 “강제 미토파지”를 확립했다.



2. 미토콘드리아 없이도 세포는 5일간 생존했다

미토콘드리아를 완전히 상실한 hPSC는 분열을 중지했지만, 배양 접시 내에서 약 120시간 생존하며, 핵 유전자의 전사 패턴을 대규모로 재구성하여 에너지 대사를 핵 코드 효소가 대신했다. 억제된 788 유전자/활성화된 1,696 유전자라는 다이내믹한 전사 리프로그래밍은, "핵―미토콘드리아 크로스토크"가 단절되면 세포가 즉시 보상 기구를 가동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SNS에서는 Cell지 공식 계정이 〈“Now online! Unraveling mitochondrial influence … via enforced mitophagy”〉라고 게시하여, 19개의 댓글, 55개의 리포스트, 9,000건 이상의 인플레션을 기록했다twstalker.com。


Wu 연구실도 〈“Excited to share our new study in Cell—what began as pure curiosity …”〉라고 소개하며, 연구자 커뮤니티로부터 축하가 이어졌다. 같은 날, 해시태그 #mitochondrialmedicine 및 #stemcells가 X(구 Twitter)의 트렌드 상위에 올랐고, 임상의로부터는 "미토콘드리아 병 모델 제작에 혁명적"이라는 목소리가 전해졌다.



3. 인간 vs. 유인원――“미토콘드리아 주권”의 행방

다음으로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가 결여된 hPSC와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오랑우탄의 PSC를 융합했다. “복합 세포”에는 두 종류의 핵 게놈과 두 종류의 미토콘드리아가 공존하지만, 며칠 내에인간 측 미토콘드리아만 남는현상을 확인했다. 한편, 인간 측 미토콘드리아를 사전에 제거하고, 반대로 유인원 측을 남기는 조작을 하면, 이번에는 유인원 미토콘드리아가 우세해졌다phys.org。


유전자 발현 분석에서는, 인간-유인원 미토콘드리아 차이에 의한 전사 변동이 미미한 반면, 변동 유전자의 대부분이 "뇌 발생", "신경 질환"에 관련되어 있었다. SNS에서는 진화 생물학자의 커뮤니티가 이 점에 주목하여, "“미토콘드리아가 인간 고유의 뇌 기능에 기여했을 가능성”"이라는 고찰 스레드가 Bluesky에 올라 (좋아요 1000건 초과).



4. 배아 발생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양의 “임계치”

마우스 배아에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면,

  • 65 % 이상 결손 배아: 착상 불가

  • 약 30 % 결손 배아: 발생 지연→12.5일째에 정상화
    라는 양 의존적 영향이 밝혀졌다newswise.com。이는 재생 의료나 불임 치료에서 논의되는 "미토콘드리아 교체 요법(MRT)"에도 시사점을 준다.



5. 재생 의료・노화 연구・우주 생물학――응용 가능성

  1. 미토콘드리아 병 모델링
    강제 미토파지로 환자 유래 hPSC의 변이 미토콘드리아를 선택적으로 제거→건강한 기증자 유래 미토콘드리아를 도입하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이식"의 발판이 된다.

  2. 노화 메커니즘 해명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는 노화의 특징 중 하나. 완전 결손 모델과 부분 결손 모델을 비교함으로써, ROS 축적・에피게놈 변화・줄기세포 고갈의 인과 관계를 검증할 수 있다.

  3. 우주 환경 적응 연구
    미세 중력 하에서는 미토콘드리아 형태 변화와 ATP 생산 저하가 보고된다. 강제 미토파지를 결합한 iPSC 오가노이드 실험은, 장기 우주 체류 중의 에너지 대사 변동을 시뮬레이션 가능.



6. 윤리와 리스크: 완전 “무미토 세포”는 인간 배아에 응용될 수 있는가

인간 배아 연구는 여러 나라에서 14일 규칙 등의 규제를 받는다. Wu 등의 방법이 착상 전 발생을 지연시키는 사실은 "발생 시계의 인공 조작"을 의미하며,생식 보조 의료로의 전용은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



7. 연구 커뮤니케이션: SNS가 가속한 논의의 확산

  • Cell지 공식 트윗은 단 6시간 만에 1만 인플레션.

  • 연구자 자신의 스레드가 실험 프로토콜이나 실패담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BioRxiv판과 논문 최종판의 차이 검증이 이루어졌다.

  • 환자 단체는 "미토콘드리아 병 치료에 대한 빛"이라고 환영하는 한편, "착상 불능의 리스크 증가"에 우려를 표하며, 이틀 만에 약 600건의 응답이 모였다.
    SNS에서의 시각화에 의해, 전문가―환자―시민의 삼자가 같은 무대에서 대화하는 “오픈 사이언스”의 좋은 예가 되었다.



8. 향후 과제

  1. 장기 배양에서의 게놈 안정성――미토콘드리아 결손 세포는 핵 게놈 변이를 축적하기 쉬운 가능성.

  2. 에너지 대사의 완전 대체――대사 플럭스 분석과 프로테옴 분석으로 핵 코드 효소의 “대신” 한계를 측정.

  3. 인간-비인간 영장류 키메라 배아의 윤리 지침 정비――미토콘드리아 선택 배제가 행동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 평가.


참고 기사

New method removes mysterious organelles from stem cells and embryos to reveal their roles
출처: https://phys.org/news/2025-07-method-mysterious-organelles-stem-cells.html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