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한일의 새로운 도전: 현대와 기아가 일본에서 환경 대응 차량 시장에 진출

한일의 새로운 도전: 현대와 기아가 일본에서 환경 대응 차량 시장에 진출

2025年11月02日 12:51

목차

  1. 이번 발표의 요점

  2. 일본 시장의 구조: 왜 "용도 기점"이 효과적인가

  3. 현대의 카드: 수소 NEXO와 고성능 EV의 두 가지 전략

  4. 기아의 카드: PBV "PV5"와 양산 EV 라인의 전개

  5. 가격・충전・잔존가치: 일본 사용자들의 현실적인 해결책

  6. 관광・물류・지자체: 도입처의 선점

  7. 국내 업체와의 비교에서 보이는 승리의 길

  8. 리스크와 논점 (규제・수소 공급・TCO 검증)

  9. 2025–2028년 로드맵 (예측)

  10. 요약: 삼위일체 전략의 진가



1. 이번 발표의 요점

  • 현대 (Hyundai): 신형 연료전지 SUV "NEXO"를 일본에서 공개. 수소의 장거리 주행 및 제로 에미션 가치를 도시 간 이동이나 관광・공용차로 어필.The EV Report

  • 기아 (Kia): **PBV "PV5"**를 일본에 투입 예정. 법인의 전동 밴 수요 (라스트 마일, 관광, 행정)를 겨냥하여 Sojitz (소지츠)와 협력한 사업 체제로 판매・유지의 현지 최적화를 추진.Kia Global Media Center+2autos.yahoo.com+2

  • 시장 전제: 일본의 승용차 판매는 국내 브랜드가 약 9할을 차지하는 엄격한 무대. 현대는 2022년에 재진입하여 EV 판매와 경험 창출을 거듭해왔다.ETAuto.com



2. 일본 시장의 구조: 왜 "용도 기점"이 효과적인가

일본은 HEV (하이브리드)와 경차가 강한 절약・실용 시장. 한편,

  • 지자체・관광・물류의 영역에서는 계획적인 충전・수소 보급이 쉽게 이루어지며, EV・FCEV의 도입 이점 (온실가스・소음・규제 대응・이미지 향상)이 명확해진다.

  • 운영・커스텀 전제의 PBV는 차량이 "이동하는 설비"로 발상 전환할 수 있으며, 업무 DX와 세트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현대・기아의 삼위일체는, 일반 사용자 = EV/HEV, 업무차 = PBV, 수소 = 장거리/공공라는 "용도별 최적화"에 겹친다.



3. 현대의 카드: 수소 NEXO와 고성능 EV의 두 가지 전략

  • NEXO (FCEV): WLTP 800km급의 장거리 주행 (발표 내용에서는 "826km"급이 언급)으로, 관광 버스・공용・장거리 공무에 적합하다. 물만 배출하는 상징성은, 환경 선진 지자체나 관광지의 브랜딩과 높은 친화성을 가진다.The EV Report

  • IONIQ 5 N (고성능 EV): 츠쿠바 타임어택에서 EV 최속을 기록 (57.446초). "주행으로 선택하는 EV"의 상징으로, 일본의 주행・서킷 문화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플래그십 이미지는 양산 EV군의 인지 견인에도 효과적이다.PR Newswire+1

  • 재진입 후의 축적: 온라인 직판이나 구독, 충전 경험의 연마는, 수입 EV의 전형적인 도입 장벽 (딜러망의 얇음)을 보완한다.ETAuto.com



4. 기아의 카드: PBV "PV5"와 양산 EV 라인의 전개

  • PV5 (PBV): **"처음부터 전동의 상용"**이라는 발상으로, 528km급의 롱레인지 사양 (Cargo Long-range)이 어필 포인트. 배송・관공수요・관광 송영・키친카 등, 차량 = 업무 장치의 세계에서 차별화.Kia Global Media Center

  • 사업 체제: 소지츠 그룹과 Kia PBV Japan을 설립. 판매・유지・잔존가치・리스의 일본 사양 운영을 구축한다.autos.yahoo.com

  • 양산 EV의 두께: 기존의 EV6/EV9에 더해, EV3/EV4/EV5/EV2로 가격대와 크기를 넓게 커버하는 중기 계획. 2030년 126만 대 EV 판매라는 매크로 목표의 일부로 일본도 포함한다.kia.com



5. 가격・충전・잔존가치: 일본 사용자들의 현실적인 해결책

  • 가격: 보조금・지자체 정책・법인 세제와 결합한 TCO (총 소유 비용) 최적화로 승부.

  • 충전: 급속기의 이용 피크와 요금 설계가 열쇠. 업무차는 야간 거점 충전으로 비용 평준화가 가능.

  • 잔존가치: OEM계 리스・보증・소프트웨어 업데이트 (OTA)를 포함하여, 가치 유지의 불확실성을 억제. 기아가 법인 리스+유지를 일체 설계하는 목표는 여기에 있다.autos.yahoo.com



6. 관광・물류・지자체: 도입처의 선점

  • 관광×수소: 장거리・고빈도의 루트는 FCEV의 특기 분야. NEXO는 **"정숙×클린×주행거리"**의 체험 어필이 명확.The EV Report

  • 물류×PBV: 재배송 감소, 심야대 가동, 배출 억제의 요구가 강하다. 차체를 업무 요구에 맞춰 나누는 PBV는, 국산 상용의 아성에도 실력 승부로 다가선다.Kia Global Media Center

  • 지자체×EV/FCEV: 온난화 대책・소음・재해 시 전원으로서의 가치는 주민 서비스와 직결. 관공수요에서의 채용은 신뢰의 트랙 레코드가 되어, 민간 도입의 후원이 된다.



7. 국내 업체와의 비교에서 보이는 승리의 길

  • HEV 패권 하의 "공백": 국산 제조업체는 HEV/PHV에서 매우 강하지만, 고출력 EV・FCEV・PBV의 세 면에서 "특화된 용도"를 완전히 차지하지 못한 영역이 있다.

  • 브랜드 이야기: IONIQ 5 N의 서킷 실적이나, PV5의 **"업무 장치로서의 전동차"라는 이야기는, 단순한 스펙 경쟁을 넘어 도입 동기**를 만든다.PR Newswire+1



##HTML_TAG_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