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_to_conten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로고
  • 전체 기사
  • 🗒️ 회원가입
  • 🔑 로그인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Español
    • Français
    • Deutsch
    • ภาษาไทย
    • हिंदी
cookie_banner_title

cookie_banner_message 개인정보처리방침 cookie_banner_and 쿠키 정책 cookie_banner_more_info

쿠키 설정

cookie_settings_description

essential_cookies

essential_cookies_description

analytics_cookies

analytics_cookies_description

marketing_cookies

marketing_cookies_description

functional_cookies

functional_cookies_description

AI의 신뢰성은 어디까지 진화할까? 0% 오류 보장의 충격: AI 불확실성을 수식으로 봉인하는 새로운 이론

AI의 신뢰성은 어디까지 진화할까? 0% 오류 보장의 충격: AI 불확실성을 수식으로 봉인하는 새로운 이론

2025年07月02日 01:19

시작하며―"AI는 정말 안전한가?"라는 질문

생성 AI 붐의 이면에서, 의료나 자율주행과 같은 '생명을 맡기는' 영역에서는, "확률 0.01 %의 사고"가 최악의 시나리오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열쇠가 되는 것은 '불확실성(Uncertainty)'의 정량화입니다. 그러나 현재 주류인 드롭아웃 추정이나 베이즈 추론은 "근사"에 불과합니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수학적으로 보증하는"** 방법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TU Wien의 돌파구

2025년 6월, **비엔나 공과대학교(TU Wien)**의 Andrey Kofnov 등이 "입력 공간을 고차원 폴리토프(polytopes)로 분할하고, 각 영역별로 엄밀한 출력 분포의 상한/하한을 계산하는"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은 arXiv에 공개되었으며, ICML 2025에서도 채택되었습니다phys.org.


어떤 점이 새로운가?

  1. 기하학적 파티셔닝

    • ReLU 네트워크에 매핑하여 입력 공간을 볼록 폴리토프로 타일 모양으로 분할합니다.

    • 각 폴리토프 영역에 대해 선형 매핑으로 '가두기'를 수행하여 출력의 확률 분포를 분석합니다.

  2. 상한과 하한을 '엄밀히' 계산

    • 근사가 아닌 "여기서부터 여기는 절대 나오지 않는다"는 수학적 증명을 부여합니다.

  3. 확률 분포 전체를 다룰 수 있음

    • ReLU/tanh/소프트맥스 등으로 일반화.

  4. 소규모 NN에 한정

    • LLM에는 아직 계산량이 방대함 (저자도 과제로 명시)phys.org.


기술의 핵심: 고차원 공간을 '시각화'하기

  • 입력 공간: 픽셀 값×노이즈×조명 등을 좌표로 하는 'n차원 우주'.

  • 분할: 활성화 패턴이 변하는 경계마다 폴리토프 생성.

  • 분석: 각 폴리토프 내에서는 NN은 선형. 따라서 출력 분포는 선형 변환 후의 확률 분포.

  • 집약: 모든 폴리토프를 통합하여 출력의 누적 분포 함수(CDF)에 상한·하한을 부여.


기존 방법과의 비교

특징근사적 UQ(MC 드롭아웃 등)신기법 (TU Wien)
보증통계적 추정(오차 있음)수학적으로 엄밀
스케일대규모 NN 가능소규모 NN 한정
계산량GPU 추론 정도조합 폭발(최적화 필요)
응용LLM, CV 전반의료기기, 산업 제어 등 '작아도 생사를 가르는' 영역


응용 시나리오

  1. 의료용 임베디드 AI: 카테터 로봇의 이미지 식별 모델 등, 오진이 치명적인 장치.

  2. 자율주행의 센서 융합: 초음파/레이더 혼합 NN을 100 % 증명으로 검증.

  3. 금융 리스크 계산: 소규모 NN을 실시간 감사에 통합하여 임계값을 자동 보증.


SNS의 반응

  • Hacker News 사용자 @quant_curious

    "리젝션·베리피케이션으로 품질을 측정하는 기존 UQ보다 이론이 아름답다"news.ycombinator.com

  • Hacker News 댓글 @esafak

    "베이즈 NN도 불확실성을 낼 수 있지만 캘리브레이션이 어렵다. 수학적 보장은 게임 체인저"news.ycombinator.com

  • Reddit r/MachineLearning 스레드

    "딥러닝의 UQ는 '한 발짝 더'라고 계속 말해졌다. 증명된다면 FDA 승인도 시야에"reddit.com

  • X(구 Twitter)에서는 TU Wien 공식 계정이

    "#AI 안전성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라고 ICML 채택을 보고하며 500개 이상의 좋아요를 획득(게시물 2025-07-01)tuwien.at


전문가의 목소리

  • Prof. Ezio Bartocci(공동 저자)

    "ChatGPT와 같은 거대한 모델은 먼 목표지만, 작은 모델부터 안전 증명을 문화로 만들고 싶다"phys.org

  • 외부 연구자의 소감
    베이즈 통계학자는 "엄밀성은 훌륭하지만, 배포의 현실과의 타협이 과제"라고 댓글(Hacker News)news.ycombinator.com.


과제와 향후

  1. 계산 비용 절감: 폴리토프 수의 지수적 증가를 샘플링/근사로 억제.

  2. 미들 스케일 NN으로의 확장: 수만 개의 파라미터급을 GPU로 몇 분 이내에 평가하고 싶다.

  3. 규제 대응: EU AI Act의 '고위험 시스템' 심사에 수학적 보증을 통합하는 움직임.


요약

  • 의의: AI 안전성을 "확률론적이 아닌, 수학으로 명확히 하는" 길을 개척했습니다.

  • 영향: 의료기기, 항공 제어 등 '제로 톨러런스' 영역에서 보급되면, AI 도입이 가속화될 것입니다.

  • 미래상: 2030년경에는 "NN은 먼저 스케일 다운하여 엄밀히 검증하고, 그것을 증류하여 대규모 모델로"라는 워크플로우가 정착할지도 모릅니다.

참고 기사

수학적 접근으로 AI의 불확실성이 정량화 가능하게
출처: https://phys.org/news/2025-06-mathematical-approach-uncertainty-ai-quantifiable.html

← 기사 목록으로 돌아가기

문의하기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  쿠키 설정

© Copyright ukiyo journal - 日本と世界をつなぐ新しいニュースメディア All rights reserved.